본문 바로가기

마음공부(명상, 심리, 끌어당김의 법칙)8

인풋과 아웃풋 우리는 자신으로부터 나가는 아웃풋에만 포커스를 맞추며 살아가는 자신만의 경험적 세계관을 구축해야 한다. 요즘 Youtube에서 매일 시청하고 있는 더 마프님의 영상을 소개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알아왔던 모든 개념을 송두리째 바꾼 더 마프님의 영상을 보고 머리가 멍해져서 이 영상을 계속 돌려보고 또 돌려봤다. 많은 사람들이 볼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 더 마프님을 내 공간에 초대한다. [커피영상] 인풋과 아웃풋의 개념을 바꾸다. 출처: 더마프 The Magnetic Life www.youtube.com/@TheMagneticLife 끌어당김의 법칙을 믿는 많은 사람들은 우주나 특정 대상에 인풋을 넣어서 그에 대한 아웃풋을 받는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그 반대다. 우리는 우리가 내보낸 아웃풋에 합당한 무.. 2024. 2. 14.
명상에 대한 오해와 진실 명상은 자기 몸과 마음을 갈고 닦기(수행) 위한 하나의 방편이다. 명상은 수행(몸과 마음을 갈고 닦는 것) 의 하위개념 가운데 하나라 할 수 있다. 명상의 종류는 약 360가기 이상 된다고 알려져 있다. 그 종류에 따라 각각의 목적과 기능이 다르기 때문에 명상을 정의 내리기는 어렵지만, 인도 철학자 오쇼 라즈니쉬가 명상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한 적이 있다. "명상은 깨닫는 기술이다." 명상은 의식을 확장하고, 몸과 마음의 불일치에서 일치상태로 변화되는 치유와 변형을 위한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명상을 통해 의식의 변형이 일어나 현재의 의식세계에서 보다 차원이 높은 의식의 세계로 변형이 일어난다. 따라서, 명상은 바람직한 삶으로 인간을 변형시키는 도구이자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치유와 변형을 위.. 2024. 2. 2.
마음의 속성과 수행의 필요성 '일체유심조' 모든 것은 오직 마음이 지어낸다. 마음은 선악의 소행을 만들어내는 공장이다. 인간의 말과 행위는 마음(생각)의 결과물이다. 즉, 모든 것은 오직 마음이 지어낸다. 마음이 맑고 고우면 선한 말과 행위가 일어나고, 마음이 번뇌와 탐욕으로 가득 차 있으면 말과 행동도 거칠고 악해진다. 선악의 소행은 '업장'에 '소성'으로 남게 된다. * '업장'이란 행위 또는 마음으로 지은 악업에 의한 장애 * '소성' 본디 타고난 품성 불교용어인 '업장'은 심리학에서는 '무의식세계', 기독교에서는 '원죄' 혹은 '타락성'이라고 표현된다. 이러한 마음의 속성으로 인해 우리는 늘 마음을 갈고 닦는 '수행'을 해야한다. '업장' = '무의식세계' = '원죄/ 타락성' 그럼 수행이란 무엇인가? 수행은 마음을 정화시키.. 2024. 2. 1.
명상이 필요한 시간 우리는 1, 2, 3차 산업혁명을 거치며, 우리는 인류 역사상 가장 풍요롭고 편리한 삶을 살게 되었다. 물질적 풍요로움을 얻기 위해 자신의 모든 에너지를 쏟아냈다. "물질만능"이라는 공동의 과제 속에서 개인은 그 과제에 걸맞게 자신을 욱여넣었다. 우리는 그렇게 사는 것이 최선인 줄로 굳게 믿으며, 참고 또 참는 인내의 시간을 꾸역꾸역 살아냈다. 인공지능이 대세가 되는 4차 산업혁명의 시대를 맞이하고, 코로나라는 유례없이 긴 팬더믹을 보냈다. 사람들은 어느덧 화난 모습 공황장애, 우울증, 불안장애, 분노조절장애 등 병명으로 하루하루 고통 속에서 살게 되었고, 부자와 빈자, 남자와 여자, 젊은 사람과 나이 든 사람…. 우리 주변에 보이는 모든 사람과 경쟁하고 갈등하고 있었다. 분명 인류 역사상 가장 풍요로운.. 2024. 1. 30.